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성조숙증 증상과 치료방법! 가슴몽우리가 벌써?

성조숙증이란 또래 아이들보다 사춘기 발달이 비정상적으로 빨라지는 경우를 뜻합니다. 요즘 어린 딸아이에게 가슴몽우리가 생겨 검사를 의뢰하고 치료하는 아이들의 수가 급격하게 늘고 있습니다. 성조숙증으로 판단되는 기준과 치료방법, 보험적용 기준등을 자세히 알아보고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시기 바랍니다.

 

 

 

성조숙증 증상과 치료

 

성조숙증의 증상

 

성조숙증의 증상에는 여아의 경우 유방조기 발육이 있습니다. 만 8세 미만의 여아가 가슴의 몽우리(유방의 멍울)이 만져지거나 가슴이 아픈 경우 성조숙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조기에 음모가 발육하거나 이차 성징의 진행속도가 정상적인 소아보다 빠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만 10세 이전에 초경을 시작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남아의 경우 만 9세 이전에 고환이 4ml이상 커진경우에 성조숙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성조숙증 증상과 치료성조숙증 증상과 치료성조숙증 증상과 치료

성조숙증이 위험한 이유

성조숙증은 2차성징이 또래보다 빠르게 시작되는 것이므로 그만큼 성장판이 빨리 닫힌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그대로 두면 성인으로 자랐을 경우의 최종키가 평균 10cm정도 작아질 수 있습니다. 또한 정신적인 연령은 어린데에 비해 신체적인 변화가 두드러져 또래와의 관계에서 놀림을 받거나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여아의 경우 어린나이에 초경을 하게 되면 스스로 처리하는 능력이 현저히 떨어져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

성조숙증 증상과 치료성조숙증 증상과 치료성조숙증 증상과 치료

성조숙증의 진단

보통 소아내분비전분의에게 진찰받는 것을 추천하며, 성장클리닉을 운영하는 소아과에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성조숙증의 증상을 살펴보는 기본진찰, 영상검사(골연령측정), 혈액검사 등을 통해 최종적으로 진단하고 결과를 해석하게 됩니다.

 

성조숙증 증상과 치료성조숙증 증상과 치료성조숙증 증상과 치료

성조숙증의 치료

성선자극호르몬-방출호르몬 작용제(GnRH agonist)치료- 뇌하수체 전엽에서 성선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선택적으로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치료는 1981년 처음 사용된 이후 현재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보통 4주에 한번 피하주사로 투여하게 됩니다. 이 치료는 사춘기의 진행을 늦춰 이차성징을 지연하고 성조숙증에 동반되는 과도한 성장을 멈추게 도와줍니다. 여아는 가슴몽우리가 사라지고 유방크기가 감소하고 여드름이 줄며 생리를 했던 경우 생리가 사라지기도 합니다. 남아는 고환크기가 감소하고 성장속도 및 골 성숙 속도가 줄어 들게 됩니다. 

치료기간은 보통 정상적인 사춘기 연령(여아 만 11~12세, 남아 만12~13세)까지 치료하며, 치료를 종료하게 되면 다시 신체변화가 진행됩니다. 

성조숙증 증상과 치료성조숙증 증상과 치료성조숙증 증상과 치료

성조숙증 보험적용 연령

 2025년 1월부터   GnRH agonist 주사제 투약 시 보험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연령 여아 만 8세(8세 365일), 남아는 만 9세(9세 365일) 미만 전에 투약을 시작해야 하며 역연령 여아 11세(11세 364일), 남아는 12세(12세 364일) 이전에 투약을 종료하는 것으로 급여기준을 개정했습니다.